본문 바로가기

Coding, Testing, Challenge/python-basic

Python 문자열 표현과 연산

728x90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 자료의 연산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이전 포스팅에서 잠시 이야기했던 문자열에 대해서 먼전 간단히 알아보고 시작하겠습니다.

Python에서 문자열은 크게 4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작은따옴표)로 묶여 있거나

2. '''(작은따옴표 3개)로 묶여 있거나

3. "(큰 따옴표)로 묶여 있거나

4. """(큰 따옴표 3개)로 묶여 있거나

위의 4가지 방법으로 묶여 있는 것들은 모두 문자열로 볼 수 있습니다.

단, 시작과 끝이 같아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아래의 코드와 같은 경우는 에러가 나면서 문자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붉은색 실선 보이시죠?)

작은따옴표로 시작해서 큰따옴표로 끝나거나

작은따옴표 3개로 시작해서 작은따옴표 1개로 끝나거나

그러면 문자열 내부에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표현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 이외의 방법으로 문자열을 묶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코드처럼 작은따옴표를 문자열 안에 표현하고 싶을 때는

위에서 설명한 문자열을 표현하는 4가지 방법 중 작은따옴표로 묶는 방법 4가지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출력을 보면 보시는 것처럼 잘 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가지의 방법은 역 슬러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의 코드처럼 따옴표 앞에 역 슬러시를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역 슬러시는 한국어 자판에서는 Enter키 위의 \를 입력하면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문제없이 잘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문자열의 연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의 경우 숫자형처럼 모든 연산을 지원하지 않고 2개의 연산을 대응합니다.

1. 덧셈 +

2. 곱셈 *

먼저 +를 사용할 경우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보겠습니다.

다음의 코드를 보면 문자열 "회사가기"와 "싫다"를 더해서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출력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두 문자열이 연결되어 출력됩니다.

즉 Python에서 문자열의 덧셈은 문자열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연산입니다.

다음으로 * 를 사용할 경우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보겠습니다.

곱셈의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 덧셈과는 조금 다른데요

"문자열" * "정수형 숫자"의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이유는  곱셈의 정의를 보면 알 수 있는데요.

5*7이라는 곱셈은 다르게 말해서

5를 7번 더하라 와 같은 의미입니다.

즉 Python에서 문자열의 곱셈은 지정된 문자열을 정수의 수만큼 반복하여 더하라는 의미입니다.

아래의 코드를 보면

"회사가기 싫다"라는 문자열과 3이라는 정수형의 곱셈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문자열 "회사가기 싫다"가 3번 연결되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 표현과 연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캡처되어 있는 소스들은 Python파일로 첨부해 두겠습니다.

test_6.py
0.00MB

다음번에는 자료형들의 형 변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ding, Testing, Challenge > python-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문자열 포맷팅  (0) 2020.12.25
Python 자료형의 형변환  (0) 2020.12.21
Python 숫자형 연산  (0) 2020.12.20
Python 함수와 파라미터  (0) 2020.12.15
Python 변수와 함수  (0) 2020.12.14